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
[약전 통칙] 대한민국약전 제 12개정 글의 내용은 [The Korean Pharmacopoeia Twelth Edition], [KP12]를 참고하였습니다. 1. 일반사항 1.2. 약전에서 [의약품]은 의약품각조에 수재되어 있는 것 중 의약외품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그 [명칭]은 의약품각조에 기재된 한글명 또는 한글별명을 말한다. 또 의약품각조에 영명 및 화학명을 기재하며 필요에 따라 라틴명을 기재한다. 그리고 의약외품의 규정은 의약품에 따른다. 화학명은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 명명법에 따라 영어로 기재하며, Chemical Abstracts Service(CAS) 등록번호를 포함하여 기재한다. 1.10. 시험 또는 저장할 때의 온도는 원칙적으로 구체적인 수치로 기재한다. 다만, 20도는 표준온도, 15-25도는 상온, 1-30도..
[eMASS] GC(Gas Chromatography) 이론 [GC] Gas Chromatography ​ * Gas Chromatography 용도 1) 환경: 대기, 토양, 수질 중 유기오염물질 분석 2) 식품: 천연식품 중 기능성 성분 스크리닝, 가공식품 중 에스트로겐 분석, 향성분 분석 3) 법의학: 모발/뇨/구강타액/혈액 중 금지약물(마약류, 근육강화제 등) 분석 4) 화학: 환경호르몬 분석, 석유화학제품 성분 분석, 합성물질 확인 및 품질검사 ​ ​ * Chromatography 분류 [Chpater 1] Gas Chromatography 이론 ​ * Gas Chromatography : 기체 이동상과 액체나 고체 고정상 사이에서 화학적 혼합기체를 분배에 의해 분리 : 크로마토그래피의 일종 : 고정상의 종류에 따라 GLC(Gas-Liquid Chroma..
[eMASS] Chromatography와 HPLC 이론 KTL 교육 과정 중 eMASS에서 HPLC, GC 실습기회가 있어서 참여했다. (Agilent 기기 사용) ​ * 학습한 내용 1) HPLC 구성, 원리, 사용법 2) Method, Sequence 짜보기 3) 정성/정량 분석법 프로그램 실습 4) 데이터 해석하는 방법 익히기 5) GC, LC 실험을 통한 차이점 학습 6) SOP(표준 작업 절차서)에 따른 전처리 방법(표준품, 검액 조제 등) HPLC 분석장비의 기초원리 HPLC 분석장비의 기본원리와 작동법 교육 및 개별 실습 분석 시료 준비, 분석법 만들기, 분석 결과 정리(적분, 정성, 정량) ​ GC 분석 장비의 기본원리와 사용법 교육 GC 개별 작동법 실습 결과 보고서 작성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KTL교육] 미생물 품질관리 및 기초 미생물학 (3) [미생물 시험] ​ 1. 배지 유효성 시험 1) 목적 : 제약 시험에 사용되는 미생물 배지의 적합성을 확인, 주문한 배지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시험 ​ 2) 적용범위 - 무균 시험용 배지 - 미생물한도 시험용 배지 - 환경모니터링 시험용 배지 - 제조용수 시험용 배지 - 기타증균, 확인, 선택배지 ​ 3) 실시 주기 - 상용 조제배지: 입고 시 해당 Lot에 따라 시험 (Lot 마다 시험해야 하기 때문에 같은 Lot 배지로 주문) - 조제배지: 구입시, 조제시 시험 ​ 4) 시험원칙 - 미생물 배지에 대한 새로운 제조번호마다 시험 - 시험대상 배지에 소량의 미생물을 접종 - 표준기관의 분양으로부터 5회 이하 계대 배양된 미생물을 사용 - 약전에 기재된 표준 미생물을 사용 ​ 2. 제조용수 시험 1) 제조용..
[KTL교육] 미생물 품질관리 및 기초 미생물학 (2) [미생물 배지] ​ * 미생물 배지 (Media) : 미생물 배양에 사용하는 미생물 증식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물 ​ * 사용 목적에 따른 배지의 분류 1) 증식용 배지 -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충분한 영양소를 함유한 배지, 선택성 없음(ex. TSB, NB) 2) 강화배지 - 여러 종류 미생물 혼합시 특정 미생물 종을 빨리 증식하도록 생육촉진 물질을 첨가한 배지 3) 선택배지 - 원하는 미생물은 증식시키고 다른 미생물 생육은 억제하도록 만들어진 배지 ​ * 미생물 배양의 요구조건 1. 적절한 영양소의 제공 2. 필요에 따른 산소 또는 기타 가스 사용 3. 적절한 수분, PH, 온도, 삼투압 ​ 1) Water - 약 95% 함량, 정제수 사용 - 배지: 뒤집어서 배양 (수..
[KTL교육] 미생물 품질관리 및 기초 미생물학 (1) 2022-04-05 ​ [ 미생물 기초이론 ] ​ * 미생물 (Microorganism) : 크기가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생물 : 고도로 분화된 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음 -> 동/식물과 구별되는 점 : 지구에 존재하는 생물 중 동물과 식물을 제외한 나머지 생물체 ​ * 안토니 반레벤후크 - 사람들이 인정하는 최초의 현미경 개발 - 미생물학의 기본을 열어줌 - 수작업으로 독창적인 단일렌즈현미경 발견 ​ * 생물속생설 (실험 세균학의 태동) : "생물체는 다른 생물체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1) Francesco Redi - 1668년 구더기는 썩은 고기에서 저절로 발생하지 않음을 증명 2) Lazaro Spallanzani - 유기물의 부패는 자연적으로 생기지 않고 세포분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