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생물

(3)
[KTL교육] 미생물 품질관리 및 기초 미생물학 (3) [미생물 시험] ​ 1. 배지 유효성 시험 1) 목적 : 제약 시험에 사용되는 미생물 배지의 적합성을 확인, 주문한 배지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시험 ​ 2) 적용범위 - 무균 시험용 배지 - 미생물한도 시험용 배지 - 환경모니터링 시험용 배지 - 제조용수 시험용 배지 - 기타증균, 확인, 선택배지 ​ 3) 실시 주기 - 상용 조제배지: 입고 시 해당 Lot에 따라 시험 (Lot 마다 시험해야 하기 때문에 같은 Lot 배지로 주문) - 조제배지: 구입시, 조제시 시험 ​ 4) 시험원칙 - 미생물 배지에 대한 새로운 제조번호마다 시험 - 시험대상 배지에 소량의 미생물을 접종 - 표준기관의 분양으로부터 5회 이하 계대 배양된 미생물을 사용 - 약전에 기재된 표준 미생물을 사용 ​ 2. 제조용수 시험 1) 제조용..
[KTL교육] 미생물 품질관리 및 기초 미생물학 (2) [미생물 배지] ​ * 미생물 배지 (Media) : 미생물 배양에 사용하는 미생물 증식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물 ​ * 사용 목적에 따른 배지의 분류 1) 증식용 배지 -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충분한 영양소를 함유한 배지, 선택성 없음(ex. TSB, NB) 2) 강화배지 - 여러 종류 미생물 혼합시 특정 미생물 종을 빨리 증식하도록 생육촉진 물질을 첨가한 배지 3) 선택배지 - 원하는 미생물은 증식시키고 다른 미생물 생육은 억제하도록 만들어진 배지 ​ * 미생물 배양의 요구조건 1. 적절한 영양소의 제공 2. 필요에 따른 산소 또는 기타 가스 사용 3. 적절한 수분, PH, 온도, 삼투압 ​ 1) Water - 약 95% 함량, 정제수 사용 - 배지: 뒤집어서 배양 (수..
[KTL교육] 미생물 품질관리 및 기초 미생물학 (1) 2022-04-05 ​ [ 미생물 기초이론 ] ​ * 미생물 (Microorganism) : 크기가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생물 : 고도로 분화된 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음 -> 동/식물과 구별되는 점 : 지구에 존재하는 생물 중 동물과 식물을 제외한 나머지 생물체 ​ * 안토니 반레벤후크 - 사람들이 인정하는 최초의 현미경 개발 - 미생물학의 기본을 열어줌 - 수작업으로 독창적인 단일렌즈현미경 발견 ​ * 생물속생설 (실험 세균학의 태동) : "생물체는 다른 생물체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1) Francesco Redi - 1668년 구더기는 썩은 고기에서 저절로 발생하지 않음을 증명 2) Lazaro Spallanzani - 유기물의 부패는 자연적으로 생기지 않고 세포분열에 ..